CSF ( Critical Success Factor, 핵심성공요소 )
- ISP 방법론 중 하나
- MIT 경영 대학원에서 개발한 전략 정보 시스템 실현을 위한 기법의 하나로, 성공에 불가결한 요인을 찾아내어 경영상 중요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
3C분석
- 기업이 표적시작을 선정하기 위해 고객, 경쟁사, 자사(3C)를 분석하여 자사의 성공에 필요한 전략을 수립하는 기법으로 일본의 경제편론가 오마에 겐이치가 제안함.
5-FORCE 분석의 요인
- 신규 진입자의 위협, 대체품의 위협, 구매자의 교섭력, 공급자의 교섭력, 기존 업계 경쟁
7S 분석 ( 매킨지의 7S 모델 )
- 조직 내부의 역량, 체계 등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전략 경영 체제에 적합한 내부 역량의 판단 방법론으로 사용된다.
- 순수한 전략 모델이라기보다도 조직개발 또는 조직 변혁 모델이라 할 수 있다.
- 조직의 혁신을 기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모델이다.
- Style, Shared Value, Skill, Strategy, System, Staff, Structure
6Sigma
- 1987년 모토로라에서 창안된 방법론으로 생산현장의 무결함을 위해 시작된 불량률 축소 운동이다.
DMAIC(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 6Sigma의 주요 방법론으로, 기존 프로세스의 향상을 목적응로 사용된다
DMADV(Define, Measure, Analyze, Design, Verify)
- 6Sigma의 주요 방법론으로, 새로운 제품이나 프로세스를 만들 때 사용된다.
Benchmarking
- 특정 분야 우수한 상대를 모델로 상대의 앞선 운영 프로세스를 배우면서 혁신을 하는 경영 기법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
-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기업의 비용, 품질, 서비스, 스피드와 같은 요인들이 향상되게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여 혁신적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
- AS-IS : 현재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는 것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 기업 내,외의 업무 프로세스를 가시화하고, 업무 수행과 관련된 사람 및 시스템을 프로세스에 맞게 실행, 통제하며,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변화 관리 및 시스템 구현 기법을 의미
KPI(Key Performance Indicatior)
- 미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핵심 지표를 묶은 평가 기준.
- BPM을 활용한 프로세스 관리 사이클 중 3단계인 프로세서의 측정 단계에서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과정 중 발생한 정보들을 이용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측정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프로세스 수행과 관련된 자원(조직), 비용, 시간, 오류, 클레임 발생률 등과 같은 비즈니스 관점에서 측정하는 것
RTE(Real-Time Enterprise, 실시간 기업)
- 기업 내, 외부에 걸친 지속적인 프로세스의 개선과 실시간 정보제공을 통해 업무 지연을 최소화하고 의사결정 스피드를 높여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기업을 말한다.
PI (Process Innovation, 업무 혁신)
- 기존의 업무처리 방식을 정형화하고, 최적의 프로세스를 재구축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비즈니스 프로젝트
ERP (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 인력, 생산재, 물류, 회계 등 기업의 모든 자원을 전체적으로 관리하여 최적화된 기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
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자재 소요 계획)
- 원자재에서 최종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자재의 흐름을 관리하는 기법.
- 필요한 자재를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양 만큼 필요한 곳에 공급하기 위해자재 구매 담당자에게는 자재 수배를 지시, 생산 관리 담당자에게는 가공 및 조립을 지시, 설계 변경 및 생산 계획 변동 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전 생산 체계에 제공함으로써 상황 변화에 즉시 대처하여 쵲거의 자재 소요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SEM ( 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전략적 기업 경영)
- 경영자 및 관리자가 기업의 수익 창출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있도록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전략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다.
- 구성요소 : VBM, ABM/ABC, BSC
ABC ( Activity Based Costing )
- 비즈니스를 업무 활동 단위로 세분해서 각 업무 활동 단위마다 소요 경비를 수치화 하는 방법.
- 본래는 제품 가격을 계산하기 위한 것으로 서류 작성이나 수주 처리 등의 간접 비용을 상헤히 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정보통신기기의 형식 승인이나 형식 검정에 필요한 수수료의 산정 기준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아웃소싱이나 업무 개혁을 진행하는 수단 또는 IT 투자 효과를 예측/측정하는 방법.
BSC ( Balanced Score Card )
- 매출액, 순익 등 과거의 결과물인 재무지표에만 의존해 왔던 기업성과 측정에 미래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표로서 고객(고객만족도, 신규고객창출), 내부프로세스(혁신, 운영), 학습(직원역량, 정보시스템능력) 등을 추가하여 균형있게 평가하는 무형의 자산 평가 모델.
VBM ( Value Based Management )
- 모든 의사 결정의 기준을 회계상의 매출, 이익 중심에서 벗어나 경제적 이익에 근거한 기업가치 중심으로 하는 기업 관리 기법. 컨설팅업계에서는 가치창조 경영을 ‘IMF 기법’이라고 말할 정도로 기업의 체질변화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MOT ( Moment of Truth )
- 투우사가 소의 급소를 찌르는 순간을 의미하는 스페인 투우 용어 ‘모멘트 드 라베르다드’에서 유래.
- 말 그대로 ‘진실의 순간’ 또는 ‘결정적 순간’ 이라는 의미.
- 스웨덴의 마케팅 전문가인 리차드 노만이 처음 사용하였고, 스칸디나비아항공(SAS)의 얀 칼슨 사장이 1987년 <진실의 순간>이라는 책을 펴내면서 널리 알려졌다.
MOT ( Management of Technology, 기술 경영 )
- 1980년대 미국 스탠퍼드대 윌리엄 밀러 교수가 강좌를 개설한 것이 효시다.
-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적인 영역과 경영원리를 구분하여 관리하던 기존의 사고를 버리고 이 두 가지를 연결한다는 개념.
- 기술 분야에서 도추로딘 지식을 바탕으로 경영을 한다는 것.
IRM (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정보 자원 관리 )
- 기업의 정보 자원을 조직 전체가 공유할 수 있도록 자원 관리 원칙에 따라 관리하는 정보 관리 접근 방법
- 정보 활용의 효율성을 최대화 하는 것을 목적
ERM ( Enterprise Risk Management, 전사적 위험 관리 )
-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 리스크들을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한 리스크 관리 방식
- 우리나라에서는 IMF를 겪으며 그 중요성이 강조됨.
SCM (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
- 제품 생산에 있어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 재고 등을 줄이기 위해 제품의 최초 생산자부터 최종 소비자까지의 공급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이다.
- 구성요소 : SCP (Supply Chain Planning), SCE (Supply Chain Execution)
SCP ( Supply Chain Planning )
- SCM 시스템의 구성요소
- 기업이 제품 수요를 예측하고 그 제품에 대한 조달 및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시스템
- 수요계획, 제조계획, 유통계획, 운송계획, 재고계획 등이 있음
SCE ( Supply Chain Execution )
- SCM 시스템의 구성요소
- 제품이 올바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제품의 흐름을 관리하는 시스템
- 주문관리, 생산관리, 유통관리, 역물류관리 등이 있음
e-SCM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SCM관련 기술들을 웹상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치사슬 ( Value Chain )
-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기업의 활동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차원에서 원료, 원자재, 부품 등을 구매하는 것에서부터 제조, 보관 및 운송, 유통 판매에 이르는 제반 활동과 이러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생산 과정 간의 연결이 밀접하게 이루어져 사슬의 형태를 이루는 과정 전체를 아울름.
PLM (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제품 수명주기 관리 )
- 제품의 기획부터 서례, 생산 서비스, 폐기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
- 기업 내 담당자나 고객, 협력업체들과 제품 정보를 공유하거나 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제품 개발 과정의 효율성을 높여 준다.
CRM ( Customer Relationshop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 )
- 고객 관리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지속적인 기업의 가치 창출을 위해 고객의 요구나 의견을 분석하여 고객의 성향과 욕구를 충족시키는 마케팅을 실시하는 경영 기법
- 고객 정보를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고객의 구매 관련 행동을 치수화하고 신규 고객 유치,, 장기 고객 유치, 잠재 고객 개발 등과 같은 사이클을 통해 고객과의 관계를 관리한다.
e-CRM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CRM
SRM (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공급업체 관계 관리 )
- 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관리하고 평가하여 기업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경영 기법
MDM ( Master Data Management, 기준 정보 관리 )
- 기업의 내, 외부에 산재해 있는 마스터 데이터의 단일화를 통해 활용도를 높이고 오류를 줄이기 위한 모든 활동의 집합.
VRM ( Vendor Relationship Managementm, 밴더 관계 관리 )
- 개인이 기업에게 제공할 개인 정보, 선호도, 패턴 등을 관리하는 기술
- 기업이 고객의 정보를 분석 및 통합하여 관리하는 CRM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VOC ( Voice of Customer )
- 고객이 체감하는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콜센터나 인터넷을 통해 접수되는 고객의 의견이나 불만사항을 접수부터 처리까지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평가하는 고객 관리 시스템
CPM ( Corporate Performance Management, 기업 성과 관리 )
- 기업 경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예측 경영을 통한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EAI ( Entero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전사적 응용 통합 )
- 기존의 정보 시스템들을 통합하고 유기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통칭하는 것
- 기업 내 애플리케이션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업무 프로세스들을 최대한 단순화, 자동화하고, 여러 시스템 간의 실시간 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EIP ( 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기업 정보 포털 )
- 기업 자원 관리(ERP), 고객 관계 관리(CRKM), 공급망 관리(SCM), 전자 우편, 텍스트 파일, 문자 서식 등 기업 내부 정보는 물론 주식, 뉴스 등 외부 정보까지 통합해 웹 포털 형태로 제공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으로, e포털(e-portal)이라고도 함
- 기업은 EIP로 단일화된 플랫폼을 통해 기업 내 직원은 물론이고 협력사까지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정보 공유와 관리가 가능하다.
EKP ( Enterprisem Knowledge Portal, 기업 지식 포털 )
- KMS, EDMS 등 기어에서 사용하는 많은 소프트웨어를 단일 웹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KMS ( 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 관리 시스템 )
- 조직이나 기업의 인적 자원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 정보 시스템.
- 기업이나 조직의 지식을 이용하기 쉽게 축적하여 해당 지식을 기업의 전략이나 정책 수립, 의사 결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사람에게, 적절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EA ( Enterprise Architecture, 전사적 아키텍처 )
- 기업의 목표와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IT(정보기술) 인프라 각 부분의 구성과 구현 기술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작업이다.
- 기업의 최고 정보 책임자(CIO)가 효율적인 IT인프라와 전략의 확보 차원에서 조직의 업무 활동과 IT간의 관계를 현재와 미래에 추구할 모습으로 체계화한 청사진.
BI ( Business Intelligence,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
- 기업 내부에 축적된 대량의 정보를 기업의 경영활동 전반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정리, 분석하여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기술을 총칭한다.
BRMS ( Musiness Ruke Management System, 비즈니스 규칙 관리 시스템 )
- 기업 정책, 마케팅 전략, 가격 정책, 이벤트 등 복잡하고 비구조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으로정의 및 제어함으로써 경험이부족한 비전문가도 효과적인 업무 처리 및 상품 판매 등에 니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COP ( Communities of Practice, 지식 공동체 )
- 기업 내에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자신들의 정보와 경험을 서로 교환함으로써 지식을 공유하고 새로운 정보를 창출한다.
WBS ( Work-Breakdown Structure, 업무 분업 구조 )
- 개발 프로젝트를 여러 개의 작은 관리 단위로 분할하여 계층적으로 기술한 업무 구조
CKO ( Chief Knowledge Officer, 지식 경영 최고 책임자 )
- 기업 내의 지식 활동을 총괄하는 최고 책임자로 KMS를 운영 및 관리한다.
- 기업이 시장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고객의 피드백이나 시장의 반응등을즉각적으로 파악하여 전달하고 공유하는 것을 총괄한다.
EDMS (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 )
- 전자 문서의 생성부터 폐기까지 전체 과정을 일관성 있게 전자적으로 관리
BPO ( Business Process Outscourcing, 업무 프로세스 아웃소싱 )
-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심 업무를 제외한 모든 업무를 외부 전문 업체에 위탁하여 자사의 핵심 업무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는 경영 기법을 의미한다.
SLA ( Service Level Agreement, 서비스 수준 계약 )
- 서비스 시간, 가용성 등 일정한 서비스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IT 서비스 사업자와 사용자 간에 맺는 계약
SLM ( Service Level Management, 서비스 수준 관리 )
- IT서비스 사업자와 사용자 간에 맺은 서비스 수준 계약에서 정의한 서비스에 대해 성과와 문제점을 정확히 측정, 평가하고 개선해 나아가는 과정이다.
ITSM ( IT Serivce Management, IT 서비스 관리 )
-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IT 서비스의 계획, 설계, 제공,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가 수행하는 프로세스 및 지원 절차 등을 의미한다.
ITIL ( IT Infrastructure Library, 정보기술 인프라 라이브러리 )
- 영국에서 태동한 정보기술(IT) 서비스를 지원, 구축, 관리하는 프레임워크.
- 효과적인 IT 서비스 관리를 위한 일종의 교본
- 서비스 관리 수준(SLA) 프로세스 사전 준비, SLA 개발, 운영 및 개선 단계의 생명 주기를 거치며 반복.
ISO/IEC 20000
- IT 서비스 관리(ITSM)에 대한 최고의 국제 표준
- IT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필요한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B2C ( Business to Customer )
- 기업과 소비자 간의 전자상 거래
B2B ( Business to Business )
- 기업 간의 전자상거래
B2G ( Business to Goverment )
- 기업과 정부 간의 전자상 거래
C2C ( Costomer to Customer )
- 소비자 간의 전자상 거래
CALS ( Commerce At Light Speed )
- 1985년 미국 국방부에서 컴퓨터를 이용해 군수 물자와 기술의 흐름을 합리적으로 통제하여 군수품 납품 체계를 개선으로 목적으로 처음 도입.
- 제품의 조달에서 설계, 개발, 생산, 운용, 유지보수에 이드를 제품의 수명 주기 전반에 대해 서류, 도면, 거래 등 모든 기술정보 등을 통합 DB로 관리한다. 이후에 전자상거래로 개념이 확대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e-마켓플레이스 ( e-Marketplace )
- 인터넷 상에서 다수의 기업 간, 공급과 수요 간에 유발되는 비즈니스 거래를 총칭하는 가장시장
Escrow ( 조건부 양도증서 ) 서비스
- 전자상거래 시 판매자와 구매자의 거래가 문제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 3자가 도와주는 매매 보호 서비스
MBO ( Management by Objectives )
- 업무 목표만을 지시하고 그 달성방법은 종업원에게 맡기는 관리방법
- 어느 경우이건 관리자는 명령하지 않고 종업원의 자주적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주며 종업원 상호 간에 조정하게 한다.
- 조직의 거대화에 따른 종업원의 무기력화를 방지하고 근로의욕을 향상시키는 관리방법으로 대표적이다.
Web Application
- 소프트웨어 공학적 관점에서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을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 클라이언트로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기 대문에 인기를 누리고 있다.
- 수천만대의 PC에 소프트웨어를 배포해서 설치하지 않도록 이 것을 유지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중에 하나이다.
- 웹 메일, 온라인 전자상거래 및 경매, 위키, 인터넷 게시판, 블로그 및 MMORPG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시맨틱 웹 ( Semantic Web )
-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하면 컴퓨터가 정보를 찾아 그 뜻을 이해하고 추론까지 하는 컴퓨터 기술로 월드 와이드 웹의 확장자이다.
- 가장 강력한 지지자 가운데 한 사람은 월드 와이드 웹의 창시자이자 세계웹표준화기구(W3C, World Wide Web Consortium)소장인 영국의 팀 버너스 리 이다.
애덤 스미스
- 영국의 정치경제학자.도덕철학자로 고전 경제학의 창시자이다.
- 근대경제학, 마르크스 경제학의 출발점이 된 <국부론>을 저술하였다.
- 처음으로 경제학을 이론.역사.정책에 도입하여 체계적 과학으로 이룩하였다.
- 경제행위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종국적으로는 공공복지에 기여하게 된다고 생각하였으며 예정 조화설을 주장함.
TO-BE
- 미래에 구현하고자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분석 기법
SIS ( Strategic Information System )
- 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축, 이용하는 정시 시스템.
- 1985년 출현한 단어, 종래의 정보 시스템이 기업 내 업ㅁ누의 합리화나 효율화에 역점을 두었던 것에 반하여, 기업이 경쟁에서 승리하여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인 시스템이라는 뜻에서 전략 정보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 요건으로 경쟁 우위의 확보(고객의 포위), 신규 사업의 창출이나 상권의 확대, 업계 구조의 변혁 등을 들 수 있다.
- 금융 기관의 대규모 온라인 시스템, 항공 회사의 좌석 예약 시스템(CRC), 슈퍼마켓(체인점) 등에서의 판매 시점 관리(POS)를 들 수 있다. 최근에는 대외 지향적인 전략 시스템 뿐만 아니라 기업 구조의 재구축을 위한 업무 재설계(BPR)와 같이 경영 전략을 수립하여 그에 맞는 정보 시스템을 재구축 하는 접근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POS ( Point Of Sale )
- 상점의 전자식 금전 등록기, 정찰 판독 장치 등을 컴퓨터에 연결하여 상품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ex) 주유소, 편의점
ITA ( Information Tecnologgy Architecture )
-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업무, 응용, 데이터, 기술 보안 등 조직 전체의 정보화 구성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한 뒤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리한 체계 및 이를 바탕으로 정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방법.
- 아키텍처와 시스템의 총괄로서 업무 및 관리 프로세스와 정보 기술 간의 관계인 전사적 아키텍처 ( Enterprise Architecture), 업무 활동에 필요한 정보 서비스인 기술 참조 모델(Technical Reference Model), 정보 서비스를 지원하는 정보 기술 표준인 표준 프로파일(Standards Profile) 등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미국 국방부가 1991년 걸프전을 계기로 군 지휘 통제 시 관계 기관 및 정보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확보의 중요성을 절감하여 도입한 일종의 방법론이며, 우리나라는 범정부 정보 기술 아키텍처 적용을 전자 정부 핵심 과제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다.
TRM ( Technical Reference Model )
- 조직의 정보화 추진을 위한 정보 서비스의 기본 틀과 개념을 추상화한 구조 및 구성 요소 간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모형.
- 업무 활동에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정보기술을 중심으로 요구되는 정보 서비스들의 집합으로 성과, 업무, 서비스, 데이터, 기술 참조모델로 구성된다.
- 상호 호환성 확보를 위하여 개방형 시스템 환경을 기본으로 한다.
SP ( Standards Profile )
- 상호 접속이나 상호 운용이 쉽도록 하기 위한 상세 규격
SWOT
- 기업의 환경분석을 통해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 요인을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기법으로 어떤 기업의 내부환경을 분석하여 강점과 약쩜을 발견하고,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을 찾아내어 이를 토대로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죽이고, 기회는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말한다.
ISP (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
- 정보 시스템 구축의 출발점인 계획 단계.
- 경영 전략을 토대로 비즈니스에 필요한 종합적인 정보구조체계를 정립하고 향후 전사적인 통합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기업의 정보화 전략 계획 활동
회계
- 특정으 경제적 실체(economic entity)에 관하여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에게 합리적인 경제적 의사결정을 하는 데 유용한 재무족 정보(financial information)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또는 체계
손익계산서
- 기업의 경영성과를 밝히기 위하여 일정기간 내에 발생한 모든 수익과 비용을 대비시켜 당해 기간의 순이익을 계산 확정하는 보고서
마르미
- 1994년 국내의 개발여건을 반영하여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된 한국형 정보 시스템 구축 방법론으로서 우리말의 마름질 하다가 어원을 두고 있다.
CBD ( Component Based Development )
- 시스템을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축하지 않고 마치 레고 블록처럼 하나하나씩 요소 별로 부품화하여 구축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의 산업혁명이라 할 만큼 소프트웨어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PDM ( Product Data Management )
- 제품의 기획에서 설계/제조/인증 및 마케팅에 이르는 제품 개발의 각 과정의 모든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것.
- 철저한 정보 관리와 정보의 공유에 의한 기업 내각 부서의 동시 병행 처리의 실현으로 제품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의 효율성 제고로 비용을 삭감하며, 전사적 품질 관리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OM ( Bill Of Meterial )
- 어떤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부품의 소요량을 나타내는 물자표
- 자재 관리 및 생산 관리의 필수 사항 중 하나.
- 제조공정에는 상위품목, 부품, 자재명세서, 사용량, 최종 품목, 중간조립품, 구매부품, 경로, 부품 공유성 등 재고관련 용어가 많다.
- 제조 부문에서 자주 등장하는 분류 기준은 품목이 상위 품목(모품목 : Parent)인가 부품(자품목 : Component)인가 하는 것이다.
- 상위 품목이란 하나 이상의 부품으로 제조되는 품목이다.
- 부품은 상위 품목으로 전환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을 거쳐야 하는 품목이다.
- 모든 품목에 대해 상위 품목과 부품의 관계와 사용량, 단위 등을 표시한 list, 도표 또는 그림.
MIS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 기업의 경영진이나 조직의 관리진에게 투자, 생산, 판매, 경리, 인사 등 경영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하여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이고자 하는 정보 체계.
- 단순한 자료 처리 체계가 아니라 방대한 자료로부터 정확한 경영 정보를 추출해 내는 능력을 갖춘 종합적인 정보 제공 체계.
- 경영 정보 체계는 현대의 과학적인 기업 경영에 필수적인 것으로 그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PI ( Process Innovation )
-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 조직, IT 등 기업활동의 전 부문에 걸쳐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하고 효과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재구축 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경영 개선 업무
TPS (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
-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거래를 처리하고 그 거래로 발생하는 여러가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정보시스템이다.
- 경영 활동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고 사무 노동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한다.
- 가장 기본적인 정보시스템인 동시에 현대의 기업 조직에 없어서는 안 될 정보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 오늘날의 기업들이 처리하는 거래들은 정보시스템의 도움 없이는 거래의 기록과 데이터의 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EIS ( Executive Information System )
- 최고경영층의 전략적 경영 활동을 지원하는 시스템
DSS ( Decision Support Systeme )
- 컴퓨텉를 사용하여 정형화되지 않는 문제 ( 즉, 주로 반구조적인 문제로 문제의 일부 측면은 계량화가 가능하나 일부는 주관적으로 다룰 수밖에 없는 문제)에 관해 의사 결정자가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채찍효과 ( Bullwhip Effect )
- 하류의 고객주문 정보가 상류로 전달되면서 정보가 왜곡되고 확대되는 현상.
- 고객의 수요가 상부단계 방향을 전달 될수록 각 단계별 수요의 변동성이 증가하는 현상.
- 소를 몰 때 긴 채찍을 사용하면 손잡이 부분에서 작은 힘이 가해져도 끝 부분에서는 큰 힘이 생기는 데에서 붙여진 명칭으로 황소채찍효과라고도 한다.
- 아주 사소하고 미미한 요인이 엄청난 결과를 불러온다는 나비효과(butterfly effect)와 유사한 현상이다.
Push-based ( 푸시 방식 )
- 고객 단말기에 쿠폰이나 마일리지, 할인 서비스 등을 텍스트나 이미지로 제작하여 전달하는 방식.
- 일반적으로 고객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고객의 위치를 파악해 매장방문이나 구매유도를 하기 위해 활용하는 경우에 많이 활용 됨.
Pull-based ( 풀 방식 )
- 고객의 반응을 이끌어 내어 마케팅, 프로모션에 대한 고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푸시방식에 비해 고객의 반감이 적고,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 할 수 있다는 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처산기2021필기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 산업기사 야매 독학 필기 (0) | 2021.02.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