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Lambda

AWS Lambda - 1일

음 오늘부터 AWS의 기능들을 하나씩 볼 예정인데 그 첫번째가 바로 AWS Lambda인데, 잘 모르니까 Docs를 보기로 했다.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그때그때 찾아보고 이해하려고 한다.

가장 먼저 프로비저닝..

 

프로비저닝

프로비저닝이 멀까? 궁금해서 찾아보니까 프로비전이라는게 준비, 대기라는 뜻으로 시스템을 바로 실행할 수 있게 준비해두는 행위를 뜻한다. 좀 더 읽어보면,

AWS Lambda는 미리 준비하거나 관리하지 않아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팅 서비스를 말한다.

 

그 다음으로는 고가용성이 나온다... EC2먼저 볼껄 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지만 이미 시작한것 되돌릴 수 없어!

Ec2는 내일 해야겠다

 

.

고가용성이란 말을 풀어보자면 높은 가용성 => 지속 가능한정도가 높다라는 말은? 정상 가동시간이 매우 높다~ 라는 뜻이다.

 

그러면 앞의 프로비저닝과 고가용성을 볼때 Lambda는 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인것 같다.

 

그 밑에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도 친절히 알려준다.

읽어보면,

 Lambda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코드에 대해서만 책임을 갖는다.

 Lambda는 메모리, CPU, 네트워크 및 기타 리소스의 균형을 제공하는 컴퓨팅 플릿을 관리합니다.

이 말은 우리들이 코드를 올리면 알아서 실행 관리를 해주는 대신 컴퓨팅 서비스는 지원하지 않는다.

직접 서비스를 관리하려면 EC2, AWS Elastic Beanstalk를 사용하라고 나와있다.

 

대신 용량 프로비저닝, 플릿 상태 모니터링, 보안패치, 코드배포, Lambda 함수 모니터링 및 로깅 등의

 운영 및 관리 작업을 수행가능.

 

blue print가 뭐야

Amazon Lex 콘솔은 콘솔에서 봇을 신속하게 생성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미리 구성된 예제 봇(봇 블루프린트라고 함)

 

뒤로는 aws.amazon.com/ko/getting-started/hands-on/run-serverless-code/ 여기를 참고

그 다음강의 docs.aws.amazon.com/lambda/latest/dg/with-s3-example.html

이 강의에서는 람다 함수를 만들고 아마존 s3를 위한 트리거설정을 하는것을 배운다.

S3 버킷에 객체를 넣을때마다 트리거를 발동시킬것인듯 

위 튜토리얼은 내일 하는걸로~